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손그리기5

손 잘 그리기 5탄 - 연필 잡은 손 오늘 그려 볼 과제는 연필을 잡은 손이다. 손은 그리기 어려운 대표적 물체이나 부담없이 편한 마음으로 그려보자. 이 이미지를 캡쳐하여 HB연필로 그린다. 손만 있으면 좋으련만 연필을 잡고 있는 손이다. 연필도 그려야 하고 손도 잘 그려야 한다...그리는 사람 입장에서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럴 때에는 연필을 먼저 그려준다. 연필이 있기 때문에 손이 이러한 동작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연필은 정교한 물체이기에 자를 써서 최대한 깔끔하게 그려준다.연필자체도 그리기 꽤 까다로운 물체이다. 연필을 많이 그려본 사람도 그리기엔 쉬운 물체가 이니다. 연필은 인공물... 손은 자연물... 1. 연필이 가지고 있는 대칭적인 특징과 구조를 파악하며 연필을 먼저 그려주자. 2. 연필을 만족스럽게 잘 표.. 2025. 5. 4.
손 잘 그리기 4탄 - 가위를 쥔 손 이번엔 가위를 잡은 손을 그려 보도록 한다.  명암이 없는 스케치 과제이니만큼 공책에 HB연필로 부담없이 그려보자. 잘 그려진들  잘 안그려진들 어떠하리. 손과 물체 두개의 물체가 있으면 어느 것부터 그려야 할지 고민이 될 때가 있다.그럴경우 필자의 경우는 물체(가위)를 먼저 그리고 손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번에는 물체 자체도 그리기가 만만치 않다...그 그리기 어렵다는 가위 아닌가! 가위와 손... 쌍두마차를 그려야 하는 것이다. 가위란 물체는 중앙에 고정핀을 축으로 벌어지고 다물어지는 구조 에다가 대칭형이다.가위의 특성상 가늘고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물체일수록 두께감에 더욱 꼼꼼하게 신경을 써서 그려야 한다. 다행이도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정면에서 본 가위를 그려 보는 것이다... 2025. 2. 20.
손 잘 그리기 3탄 - 막대기를 쥔 손 손을 잘 그리려면 잘 그리고 못 그리고를 떠나서 많이 그려야 한다. 많이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일단 손 그리기를 좋아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손 그리기를 싫어하고 어려워 하고 피한다. 왜냐.? 그리기 어려우니까.! 당연하다. 손을 처음부터 잘 그리는 사람은 천재 아니면 이상한 사람이다. 그만큼 손 그리기가 어렵다.오죽 손 그리기가 어려우니 이런 말도 있다.손을 잘 그리면 인체도 잘 그린다.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다 라는 말을 미술계에서 왜 하겠는가? 자기가 잘 하지 못하는 것은 잘 안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입시를 떠나서 좀 못 그리면 어떤가? 라는 자세로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그린다면 잘 그릴 수 있다. 명암은 넣지않고 스케치 위주로 많이 그려도 당연히 그림실력은 향상될 수 있다. 연필은 스케.. 2025. 2. 19.
손 잘 그리기 2탄 손을 잘 그리려면 처음 그릴 때 최대한 단순하게 그려 나가야 한다. 해부학 책은 일단 던져 버리자. 단순화 한다는 것은 도형화 해서 그린다는 것인데 두가지 방법이 있다. 사각기둥으로 그리는 방법과 원기둥으로 그리는 방법이다. 그리고 관절은 구로 보는 것이 좋다. 손가락의 마디와 관절구조를 원기둥과 사각기둥, 구로 보려고 한다는 것은 손의 구조를 보려고 노력하는것이다. 이 과정이 익숙해지면 손을 훨씬 수월하게 그릴 수 있다. 1. 사각기둥으로 그려보기 손의 비례를 잘 생각하여 육면체 구조로 최대한 단순하게 그려 나간다. 마디가 꺽일 때 육면체도 그것에 맞게 그려주자. 2. 원기둥으로 그리는 방법원기둥 구조로 그려나간다. 마디와 마디 사이는 구를 끼워 넣듯이 그려본다.마디가 꺽일 때 원기둥도 .. 2024. 11. 7.
손 잘 그리기 1탄 손을 잘 그리기 위해서는 해부학 책을 보라는 주변의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손 관련 해부학 이미지를 보아도  복잡하여 도무지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손의 비례와 뼈를 알아야 하고 근육,인대까지...피부는 겉 껍데기에 불과하니 껍데기만 보면 안된다는 것이다.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다... 손을 잘그리면 인체도 잘 그릴 수 있다 라는 말도 있다. 그만큼 손을 잘 그린다는 것은 인체를 그리는 것 만큼 어렵고도 어려운 일이다.  미술학도들에게 손을 잘 그리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과감하게 해부학책을 던져버리고 손의 구조를 단순도형으로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이렇게 말이다....로봇손 같지만  손은 피부주름과 손톱등 자칫 복잡해 보이지만 단순하게 바라보면 손의 구조가 눈에 들어올 것이다.. 2024.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