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그림 잘 그리는 요령70

멋진 글씨체 몇몇 학생들은 멋진그림을 그리기위해 완벽하게 깍은 드로잉 도구를 만드는 것을 볼 때가 있다.그런데 일반적으로 공부할 때나 글씨를 쓸 때는 대부분 아무 생각없이 뭉툭하고 굵은 연필이나 펜을 사용한다. 그림을 그릴 때나 공부를 할 때에도 같은 정도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그림 그리기,스케치,필기는 모두 같은 것이다. 다르게 말하자면 각각에서 여러분의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맨 위의 그림에서 두가지유형의 "필기"를 비교해 본다. 선은 모든 것을 표현하며 의사소통은 매우 명료하다.동일한 자격을 가진 두사람이 동일한 곳에 취업원서를 냈을때이것이 그들의 글씨라면 그중 누가먼저 취업을 할 수 있겠는가 말이다.    - 영문 필기체를 예로 함. -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간격과 크기등을 동일하게 편차없이 미리.. 2025. 3. 14.
종이란 무엇인가? "종이는 새책을 만들어 주고 오래된 작품을 깨어있게 한다"1588년 시인 토마스 처치야드는 이렇게 종이를 찬양했다. 오늘날 종이는 여전히 새로운 책을 만드는데  쓰이고 있지만"오래된 작품들을 깨어 있게 하는~"  능력은 감소했다.최소한 100여년전에 종이로 만들어진 책들은 안타깝게도 앞으로 50년내 저절로 없어지고 말 것이다.그 많은 기록들...   장단편 소설, 수필, 역사자료, 공사문서등그것들을 다시 인쇄하거나 필름化 하거나 컴퓨터에 기억시키지 않는다면 말이다. 이렇듯 종이가 저절로 부서지고 누렇게 색이 바래는 것은 종이의 성분자체에 그 원인이 있다.인쇄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종이는 나무의 펄프로 만드는데대부분의 펄프에는 시간이 지나면 종이를 먹어? 버리는 산/酸이 포함되어 있다.산이 적은 고급종이도.. 2025. 3. 14.
지우개의 역사와 종류 1858년 미국인 하이먼 L.리프먼은 연필의 끝에 지우개를 달았다.그는 인간의 실수를 지워서 고치는 방법을 개선한 덕분에 당시 10만달러를 벌어들였다. 이러한 대가는 젖은 진흙판에 잘못 써넣은 설형문자를 고치려 엄지 손가락으로 문질러야 했던고대 바빌로니아인이 받던 삯보다는 엄청나게 많은 것이었다. 파피루스위에 잉크로 썼던 고대 이집트의 상형문자도 젖은 천을 써서 지울 수 있었다.그리고 잉크가 이미 말라 버린 다음이면 금속의 칼날로 긁어내면 되었다.이론적으로는 돌에 새긴 상형문자도 고칠 수 있었다.즉, 잘못 새겨진 글자를 쪼아내고 그 구멍을 석회로 메운다음 새로운 문자를 새기면 되었다. 그러나, 많은 문명이 성쇠를 거듭하는 동안 문자를 써서 의사소통을 해야 할 필요성이 실수를 피할 수 있는 능력보다 빨리 .. 2025. 3. 14.
연필선의 종류와 중요성 1. 좋은 선  톤을 넣기 위한 선의 사용은 간격을 고르게 촘촘하게 붙여서 길게 또는 짧게 사용해보자.선 하나하나의 모임으로 면을 만들고 인접한 면의 색감차이로 입체감과 좋은 소묘가 될 수 있는 것이다.좋은 선을 쓰기 위해 많은 연습을 하자.  2. 안좋은 선  이처럼 정리되지 않은 선은 어디에도 쓸일이 없다.  3. 기본톤을 깔때의 연필선   기본톤을 깔아나갈때 선의 끝이 강하지 않게 풀어지도록 연필을 눕혀 차분하게 선을 깔아보자.그래야 여러번의 덧칠을 해도 경계선이나 자국과 같은 얼룩이 최소화 되며 자연스런 톤이 된다.  4. 연필선의 터치   3. 에서의 기본톤을 만든후 드로잉의 정리과정에서는 경우에 따라서경계의 구분을 깔끔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는데 위의 터치들은 그런경우에 효과적이다.좋은 소묘가 .. 2025. 3. 14.
그림 그릴 때 필요한 도구 소묘/드로잉 에 필요한 도구  1. 붓 .....지우개를 털어낼 때 사용한다.  빗자루처럼 생긴 종류도 있다. 2. 자 .....필수적인 도구는 아니나 중심선을 긋거나 위치관계 확인용. 3. 천 .....필수적인 도구는 아니나 톤을 문질러 밀도감을 높일 때 사용함. 4. 사포 .....연필심을 곱게 갈때 편리하고 간혹 찰필의 무딘심을 갈때도 쓰인다. 5. 전동지우개 .....섬세하고 정교하게 지우거나 하이라이트를 표현할때 유용하다. 6. 연필 .....연필은 강도에 따라 6H,5H,4H,3H,2H,H,F,HB,B,2B,3B,4B,5B,6B,7B,8B,9B 가 있다. 7. 말랑지우개 .....반죽형태의 지우개로 부드럽게 연필톤을 닦아낼때 유용하다. 8. 고무지우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미술용 지.. 2025. 3. 14.
강조와 생략 2 소묘에 있어서 대상의 중요부분(가까운 곳)에는 초점을 맞추는 것(강조)이 중요하다.또한 중요하지않은 부분은 생략(흐리게)하여 표현의 강약을 잘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경계부분에 대한 강한 강조&밝은 영역, 또는 어두운 영역에 있어서 디테일을 과감히 생략해보는 것도 소묘의 좋은 분위기를 이끌 수 있다. 2025. 3. 14.
강조와 생략 1 - 세부묘사와 생략 - 세부묘사를 할때에는 주요 포인트 부분을 중점적으로 묘사를 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호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정도로만  가볍게 묘사(생략)하는 것도 한 요령이다. 2025. 3. 14.
연필을 길고 뾰족하게 깎아야 하는 이유? 문제: 연필을 길고 뾰족하게 깎는 이유는?   1. 연필이 예뻐지게 하려고  2. 주사기를 만들기 위해서  3. 잘 그리기 위해서  4. 향나무냄새가 넘 좋아 계속 맡으려고  5. 폼 나잖아~!!  정답은 동영상 참고. 2025. 3. 14.
기초 소묘 잘 하는 방법 - 1탄 그림을 잘 그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외로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 바로 연필이다. 기본적으로 연필 깎은 상태가 중요하다. 연필을 길고 뾰족하게 해서 그려야 하는 이유...어떤 유리한 점이 있나?  형태는 아주 훌륭하게 잘 그렸지만 톤이 거칠어 깔끔하고 완성된 좋은 느낌을 줄 수 없다.  대부분 명암을 넣는 단계에서 실망을 한다. 그래서 난 그림에 소질이 없어...라고 한다. 그래서  형태를 잘 그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톤을 요령있게 넣을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그래야 그림실력이 비약적으로 늘어난다.   연필심이 짧고 뭉툭하면 연필입자가 거칠어지며 그림이 푸석함 느낌이 난다.요즘 학생들은 소묘를 할 때 연필사용을 잘못하여 톤이 거칠어지면 왜 그림이 더럽게 그려지지? 라고 말한다... ㅡ.ㅡ 그것.. 2025. 3. 14.
소묘의 3요소 연필 소묘는 선 / 터치 / 톤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대부분 세가지 요소를 함께 사용해야 함.  선만으로 표현한 것.............선의 강약에 따라 가까운 곳과 먼 곳, 접해 있는 부분과 떨어져 있는 부분등 여러가지 선으로 그려보자.  터치만으로 표현한 것............방향을 따라 터치하며서면의 형태를 나타내어 입체감을 강조해보자.  톤만으로 표현한 것...........명암에 변화를 주어 음영을 적절하게 그림으로써공간감을 느끼게 해보자.  3가지 요소를 함께 사용한 표현.............각각의 이점을 살려 상호간의 결점을 보완하면폭넓고 풍부한 표현을 할 수 있다. 2025.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