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그림 잘 그리는 요령67

HB가 뭐지? 연필심의 농도 연필심은 단단한 것과 무른 것으로 크게 나뉜다. 단단한 것은 "H"/hard  무른 것은 "B"/black 으로 표시한다. 각 기호의 앞에있는 숫자가 클수록 더 단단하거나 더 무르다.  "H"류의 연필은 입자가 가늘고 농도가 옅기 때문에 주로 가벼운 스케치나 제도용으로 많이쓰이고"B"류의 연필은 입자가 다소 거칠고 농도는 짙어 소묘나 크로키등에 주로 쓰인다. HB연필은 말 그대로 H와 B의 느낌이 반반씩 있다는 것이어서 주로 공부할 때 많이 쓰이는 것 같다. 연필의 농도는 연한 것부터 시작해서  6H,5H,4H,3H,2H,H,HB,F,B,2B,3B,4B,5B 순으로 9B까지 있다. 그보다 더 진한 것을 찾는다면 목탄과 콘테가 있다. 아래그림과 같이 너무 연한농도의 연필은 강한 어두움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2024. 11. 11.
연필을 잘 쥐어야 잘 그릴 수 있다 그림을 그릴때 연필은 가장 편하게 쥐고 그릴 수 있어야 한다. 힘이 너무 들어가서도 안되지만 강하게 명암을 넣을 때에는 손에 힘을 충분히 주어 그릴 수 있어야 한다.간혹 연필을 독특하게 쥐고 그리는 사람이 있는데 그 그립이 아무리 익숙하고 편할지라도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쥐는 방법을 점차 숙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른손잡이를 예로 함.    일반적인 연필 쥐는 법. 평소 글씨를 쓰듯이 연필을 쥔다.하지만 강하고 짧은 스트로크가 되기 쉬우니 세부적인 묘사를 할때나 적절히 사용한다.                                  연필을 직각에 가깝게 세우면 날카롭고 세밀한 선이 그어진다.부분적으로 강하고 또렷한 악센트를 표현할때 사용.          연필을 길게 쥐는 방법은 긴선을 쓰거나.. 2024. 11. 9.
칼라와 흑백은 어떻게 다른가? 간혹, 요즘에도 드믈게 특이?하게 영화를 일부러 흑백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AI시대에 흑백영화라니... 자칫하면 호불호가 갈릴 수 있슴. 그것은 칼라를 배제한채 영화에 더욱 빠져들게 하는 촬영기법중에 하나인지도 모른다. 쉰들러 리스트가 그 한예이기는 하지만 이 영화는 너무도 유명한 영화이니 섣불리 논하지 말고 일단 건너뛰자. 칼라는 온통 화려하다. 화려한 색깔을 모노톤으로 전환하면 어떻게 될까? 그것은 대체로 재미없고 밋밋할 것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크로키나 연필로 그린 그림이라도 진정한 예술로 거듭날 때 세상은 그것을 명작이라고 평한다. 나는 요즈음 연필이나 콘테 같은 것으로 그린 흑백의 그림들이 좋아지는게 그 옛날 인간조상이 잡아온 동물을 동굴속에서 숯불에 구워 실컷먹고 행복에 겨워 벽.. 2024. 11. 8.
손 잘 그리기 2탄 손을 잘 그리려면 처음 그릴 때 최대한 단순하게 그려 나가야 한다. 해부학 책은 일단 던져 버리자. 단순화 한다는 것은 도형화 해서 그린다는 것인데 두가지 방법이 있다. 사각기둥으로 그리는 방법과 원기둥으로 그리는 방법이다. 그리고 관절은 구로 보는 것이 좋다. 손가락의 마디와 관절구조를 원기둥과 사각기둥, 구로 보려고 한다는 것은 손의 구조를 보려고 노력하는것이다. 이 과정이 익숙해지면 손을 훨씬 수월하게 그릴 수 있다. 1. 사각기둥으로 그려보기 손의 비례를 잘 생각하여 육면체 구조로 최대한 단순하게 그려 나간다. 마디가 꺽일 때 육면체도 그것에 맞게 그려주자. 2. 원기둥으로 그리는 방법원기둥 구조로 그려나간다. 마디와 마디 사이는 구를 끼워 넣듯이 그려본다.마디가 꺽일 때 원기둥도 .. 2024. 11. 7.
야생화 그리기 - 황새냉이 꽃 몇달 전 크몽 이라는 재능,전문가 사이트에서 어떤 고객에게 그려드린 그림이다.뭐 거창하게 작품이라고 까지는 말 할 수 는 없다고 보지만 고객께서 꽤 마음에 들어 하셨다. 본인은 인터넷등 여러 루트를 통하여 작품 제작문의가 들어오면 제작해 드리는 취미활동을 하고 있다.그중 크몽 이라는 곳은 artgallery라는 작가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지난 봄부터 활동을 하고 있는데 제법 재미있다. 의뢰 주시는 고객분의 얼굴은 모르지만 고객 개개인의 문의나 주문사항을 조목조목 살펴보면 웬지 모르게 작업의욕이 팍팍 솟아난다. 크몽의 수수료 정책은 얼마전 인상 되었다. 하지만 난 개의치 않는다.어차피 직업적으로 하는게 아니니까. 이 그림을 그려 드리면서 한가지 느낀 점은 이제껏 살아오면서 이 꽃의 존재를 알지 못했.. 2024. 10. 15.
잘 그릴 수 있는 방법 5 그림 1      그림 2   그림 1과 2는 같은 학생이 그린 "환등기와 운반대"이다.이 그림들은 "알고 있는 것" 과 "본 것" 사이의 갈등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 하려는 노력이 엿보인 그림이다. 첫번째 그림 1에서 학생은 자기가 "본 것"과  이미 저장된 "지식"에 의해 "그렇게 보여야만 하는" 대상(positive space))을 조화 시키기 위해 상당히 애를 썼다.이 그림에서 운반대의 다리길이는 다 똑같고 바퀴는 상징을 이용해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자신을  우뇌모드로 전환시키고 여백(negative space)만을 그린 두번째 그림 2는 훨씬 잘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이렇게 쉽고 잘 그릴 수 있었던 것은여백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인식이 개념과 일치하지 않을 때 일어나는 정신적인 혼란을.. 2024. 10. 12.
잘 그릴 수 있는 방법 4 거꾸로 된 그림 그리기를 연습하는 이유는 갈등을 일으키는 방식즉, "루빈의 잔"을 보면서 야기된 갈등이나 정신적 마비에서 탈출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함이다. 좌뇌모드가 저절로 없어지면 갈등이 사라지고우뇌모드가 즉시 그에 적합한 작업이 인지된 영상 그리기를 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거꾸로 된 그림 그리기 연습에서는 두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첫째는 인식의 방법을 (L)좌뇌모드에서 (R)우뇌모드로 바꾼후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느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점이다.좌뇌모드와 우뇌모드의 인식방법은 분명히 다르다.두번째는 여러분이 자신의 통찰력(=관찰력)이 늘어나고 점점 자신이 생긴다는 점을 깨닫는 사실이다.즉, 우뇌모드로 바뀔때 당신은 유명화가와 마찬가지로 관찰을 잘 할 수 있으며더 나아가 지각한 대상을 잘 그릴.. 2024. 10. 11.
잘 그릴 수 있는 방법 3 거꾸로 보고 그리기 거꾸로 그리면 관찰력을 향상시키고 습관적으로 그렸던 시각적 자세를 고칠 수있다.대상을 거꾸로 본다는 것은 이성적,논리적,분석적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좌뇌의 활동보다는직관적,시각적이며 전체적 느낌을 가지고 바라보는 우뇌를 활성화함이 그 목적이다. 대체로 좌뇌의 지배를 많이 받는 사람은 그림을 그릴때웬지 그림이 어렵고 지루한 느낌을 갖는다고 한다. 거꾸로 보고 그리기는 사물을 그리려 할 때 나도 모르게 우뇌모드로 전환되어관념적으로 그리게 하는 것을 잊게 해주고 대신 공간과 여백, 비례와 구도를 느끼게 해준다. 그림 그리기를 싫어하거나 잘 못그리는 학생들을 위해 “베티 에드워드”는 이 방법으로수강생 중 대부분의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잘 그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첨부된이미지(sampl.. 2024. 10. 8.
잘 그릴 수 있는 방법 2 좌뇌에서 우뇌로 전환하기 / 심메트리 형태 그리기  좌우로 균형이 잡혀있는 대칭적인 형태를 "Symmetry /심메트리" 라고 한다.형태가 대칭이므로 반으로 좌우가 똑같고 면적도 같다.이런 대칭적인 형태를 그리기 연습해보자.   위 그림의 실선처럼  오른쪽 부분에 대칭적인 선을 그려넣는다.점선은 한예로 어디까지나 보조선이다.보조선이 없는 상태로 선을 그리는 것이 실제연습이다.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형태에서 복잡한 형태순으로로 연습해보자.두선사이가 같은 간격이 되도록 균형을 잡으면서 그리자. 왼쪽그림의 실선을 보면서 오른쪽 부분에 대칭적인 선을 그려넣는다.간격이나 크기등을 똑같이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왼쪽을 비교하며 정확하게 옮겨 그려보자.  좌우를 똑같이 그리는 연습을 많이하면 대칭구.. 2024. 10. 7.
곤충 잘 그리기 - 사슴벌레 사슴벌레 그리기(구조를 생각하며) Drawing a stag beetle with a simple structure in mind...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사슴벌레를 좋아한다. 특히나 남학생들이... 곤충과 같은 물체를 그리는 것은 관찰력과 세밀한 표현력 향상에 있어서도 아주 좋은 소재이다. 디자인 세계에서는 대부분 자연에서 영감을 얻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얻어 낸다고 한다. 자연에는 식물도 있지만 특히 동물처럼 특이하게 생긴 생김새나 구조에서 더욱 다채로운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내곤 한다. 곤충의 형태는 제법 복잡하다. 크게는 머리,가슴,배로 구분하지만 다리나 더듬이 같은 부분은 잘 관찰하지 않고서는 그리기가 어렵다. 그래서 위와 같은 참고자료를 만들었다. 물체를 최대한 단순하게 도형구.. 2024. 9. 25.
반응형